본문 바로가기
정보공유

[비즈니스용어] 감사 vs 심사의 차이

by 블랙래빗s 2025. 2. 19.

 

업무하다 혼동되는 단어가 있어 찾아보다 정리해두면 좋을 것 같아 기록합니다. 

필자는 업무상 내 외부 오딧을 받기도 하고 오딧을 하기도 하는데 이때마다 감사 인지 심사인지 헷갈릴때가 많습니다. 

 

 

 

 

감사와 심사는 비슷한 개념으로 보일 수 있지만, 목적과 수행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.

1. 감사 (Audit)

  • 목적: 조직의 업무, 재무, 운영 등의 절차가 내부 규정, 법규, 국제 표준(ISO, FSSC 등)을 준수하는지 확인하고, 개선점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입니다.
  • 대상: 내부 프로세스, 재무 보고서, 품질 관리 시스템 등
  • 수행 주체: 내부 감사팀(내부 감사) 또는 외부 기관(외부 감사)
  • 특징:
    • 사후적으로 수행되며, 일정 기간 동안의 활동을 점검
    • 독립적인 시각에서 객관성을 유지하며 평가
    • 발견된 문제점에 대해 시정 조치를 권고

2. 심사 (Assessment, Evaluation, Review)

  • 목적: 특정 기준(예: 인증, 법적 요건, 내부 지침)에 대한 적합성을 평가하고 인증이나 승인을 부여하기 위한 것입니다.
  • 대상: 품질 경영 시스템, 식품 안전 시스템, ISO/FSSC 인증 심사 등
  • 수행 주체: 인증 기관, 정부 기관, 내부 심사팀 등
  • 특징:
    • 특정 표준 또는 요구사항 충족 여부를 확인
    • 인증 심사의 경우, 합격해야 인증을 획득할 수 있음
    • 평가 대상의 적격성 또는 적합성을 판별

3. 주요 차이점

구분감사 (Audit)심사 (Assessment)

목적 내부 통제 및 개선 기준 충족 여부 평가
대상 프로세스, 재무, 운영 등 특정 인증, 법규 준수
수행 주체 내부 감사팀, 외부 감사 기관 인증 기관, 정부 기관 등
특징 독립적인 검토 및 시정 조치 권고 기준 충족 시 인증 또는 승인

즉, 감사는 조직의 운영이 올바르게 이루어지는지를 점검하고 개선하는 데 초점이 있고, 심사는 특정 기준에 부합하는지를 평가하여 인증 또는 승인을 받기 위한 과정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.